○ 세액공제 대상자
- 과세기간 종료일 현재 주택을 소유하지 아니한 일정 요건을 갖춘 세대의 세대주 또는 세대원으로서 해당 과세기간의 총급여액이 7천만원 이하(해당 과세기간의 종합소득금액이 6천만원을 초과하는 사람은 제외)인 근로소득자
○ 세대 또는 세대원의 요건
- (세대) 거주자와 그 배우자, 거주자와 같은 주소 또는 거소에서 생계를 같이 하는 거주자와 그 배우자의 직계존비속(그 배우자를 포함한다) 및 형제자매를 모두 포함한 세대를 말함
- 거주자와 그 배우자는 생계를 달리 하더라도 동일한 세대로 봄
- (세대원의 세액공제) 세대주가 주택마련저축, 주택임차차입금 원리금 상환액 및 장기주택저당차입금 이자상환액 공제를 받지 아니한 경우에는 세대원 중 근로소득자도 공제 가능
○ 공제율 및 공제한도
급여 및 소득기준 | 공제율 | 공제대상 월세액 한도 |
총급여 5,500만원 이하 (종합소득금액 4,500만원 초과자 제외) |
17% | 750만원 |
총급여 5,500만원 초과 7,000만원 이하 (종합소득금액 6천만원 초과자 제외) |
15% |
○ 세액공제 요건 : 다음 각 호의 요건을 갖춘 주택(오피스텔, 고시원 포함)
- 국민주택규모 이하 또는 기준시가 3억원 이하인 주택
- 주택에 딸린 토지 ⇒ 도시지역 내 토지 5배, 그 외 10배 이내
- 임대차 계약증서의 주소지와 주민등록표 등본의 주소지가 같을 것
- 거주자 또는 해당 거주자의 기본공제대상자가 임대차계약을 체결하였을 것
○ 공제대상 월세액
- 해당 과세기간에 지급한 월세액*이 세액공제 대상 금액임
* 임대차계약증서상의 주택임차기간 중 지급할 월세액의 합계 | × | 해당 과세기간 임차일수 |
임대차 계약기간의 임차일수 |

'issue & life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자금 대출 원리금상환액 연말정산 (0) | 2023.01.13 |
---|---|
중도퇴사자 연말정산 안하면 (0) | 2023.01.11 |
무직자 신용카드 발급기준은? (0) | 2022.12.23 |
생애최초 주택구입 ltv 80% (0) | 2022.06.17 |
김건희 슬리퍼 가격 (0) | 2022.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