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덕수 국무총리 지명자(73)는 관료 출신으로 김영삼·김대중·노무현·이명박 정부에서 요직을 지냈습니다. 보수·진보 정부를 막론하고 중용된 데에는 경제·통상·외교 분야 전문성과 합리적·중도적 이미지가 작용한 것으로 평가됩니다.

 

 

 

한덕수 국무총리 후보자 프로필


1949년 전북 전주에서 태어난 한 지명자는 1970년 행정고시에 합격해 경제 부처에서 공직 생활을 시작했습니다. 김영삼 정부(문민정부)에서 청와대 통상산업비서관, 특허청장, 통상산업부 차관을 지냈습니다. 정권이 교체된 김대중 정부(국민의정부)에서도 ‘통상 수장’인 외교통상부 통상교섭본부장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대사, 청와대 경제수석을 맡았습니다.

한 지명자는 노무현 정부(참여정부)에서 승승장구했습니다. 산업연구원장과 국무조정실장을 맡은 데 이어 2005~2006년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을 지냈다. 2007년 4월부터 2008년 2월까지 참여정부 마지막 국무총리로 일했습니다. 당시 청와대는 한 지명자의 국무총리 발탁 이유에 대해 “관료 출신으로는 드물게 실무 경험과 이론적 소양을 아울러 보유하고 있다”며 ‘탁월한 경륜과 전문성’ 등을 들었습니다.

한 지명자는 노무현 정부에서 추진돼 뜨거운 논쟁거리였던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과정에 깊숙이 관여했습니다. 부총리를 마치고 대통령 직속 한·미 FTA 체결지원위원장 겸 대통령 한·미 FTA 특보를 지냈고, 국무총리로 임명돼서는 FTA 국내대책위원회 공동위원장을 맡았습니다. 국회의 국무총리 임명 동의 과정에서 일부 의원들은 한·미 FTA 졸속 타결에 반대한다며 한 지명자 임명에 반대했습니다.

정권을 교체해 새로 들어선 이명박 정부에서도 한 지명자는 중용됐습니다. 국무총리를 마치고 1년 뒤인 2009년 2월 주미 대사로 임명된 것입니다. 대사 재임 당시 미국의 한·미 FTA 재협상 논란에 직면했지만, 2011년 말 미국 의회의 한·미 FTA 인준을 이끌어내는 데 기여했습니다.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한 지명자의 주미 대사 시절 미국 부통령이었습니다.

3년 간의 주미 대사 생활을 마친 한 지명자는 통상·외교 분야 전문성을 인정 받아 2012~2015년 한국무역협회 회장을 맡았습니다. 무역협회 회장 시절에는 지론인 ‘우문현답’을 강조했습니다. ‘우리의 문제는 현장에 답이 있다’는 뜻으로, 의사 결정 과정에서 기업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고자 했습니다. 2015년부터 2년여 동안 기후변화센터 이사장을 지냈습니다.

■한덕수 국무총리 지명자 프로필

△전북 전주(73) △서울대 경제학과 △미국 하버드대 경제학 박사 △청와대 통상산업비서관 △특허청장 △통상산업부 차관 △외교통상부 통상교섭본부장 △OECD 대사 △청와대 경제수석 △산업연구원장 △국무조정실장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 △한·미 FTA 체결 지원위원장 △국무총리 △주미 대사 △한국무역협회 회장 △기후변화센터 이사장

반응형

'issue & life > Who 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노공 법무부차관 프로필  (0) 2022.05.13
김대기 프로필..윤석열 비서실장 유력 후보군  (0) 2022.04.12
이창용 프로필  (0) 2022.03.23
박지현 프로필  (0) 2022.03.13
조재연 대법관 프로필  (0) 2022.02.19

+ Recent posts